언론보도
폭스바겐 “신장 강제노동 조사”···각국 압박에 차업계 공급망 단속 (2023.06.22 경향신문)
2023.06.22 Views 168 ESG 연구원
폭스바겐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독일 자동차업체 폭스바겐이 중국 신장위구르 자치구 공장에서 강제노동에 연루됐다는 의혹에 대해 외부 감사를 받기로 했다. 전기차 업체 테슬라도 코발트 광산 아동착취 문제를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공급망 노동·인권 문제를 해결하라는 각국의 압박과 투자자들의 요구가 거세지자, 세계 곳곳에서 원료와 부품을 조달하고 있는 자동차 업계도 대응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2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올리버 블루메 폭스바겐 최고경영자(CEO)는 “중국 신장 공장의 근무 조건에 대해 가능한 한 빨리 외부 감사를 의뢰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루 전인 지난 20일 시민단체 유럽헌법인권센터(ECCHR)는 폭스바겐과 BMW, 메르세데스 벤츠가 신장 자치구 강제노동과 연루된 혐의가 있다며 독일 연방경제수출통제국(BAFA)에 제소했는데 이에 대한 대응 차원이다.
폭스바겐은 신장 자치구 수도인 우루무치에서 중국 상하이자동차그룹(SAIC)과 합작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서방 인권단체들은 중국 정부가 이 지역 위구르족과 무슬림 소수민족을 강제노동 수용소에 구금해 인권 탄압을 벌이고 있다고 비판해 왔다.
유럽헌법인권센터는 “우루무치에 공장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폭스바겐이 (강제 구금된)위구르족 노동자들의 노동력 이전을 받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해당 공장에는 240여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30%가 소수민족인 것으로 알려졌다. BMW와 벤츠는 신장에 공장을 두고 있지는 않지만, 이 지역 일부 협력사가 강제 동원된 노동력을 이용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함께 제소를 당했다.
공급망 내 인권침해 의혹에 직면한 자동차 회사는 폭스바겐뿐만이 아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지난달 연례 주주총회에서 “(배터리 원료인)코발트를 조달하는 과정에서 아동노동이 벌어졌는지 여부를 제3자 감사를 통해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테슬라는 그동안 코발트 생산 1위국인 콩고민주공화국에 만연한 아동노동 착취를 묵인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하지만 북유럽 최대 자산운용사인 노르디아자산운용 등 17개 주요 주주들이 지난 4월 이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는 등 안팎의 지적이 이어지자 결국 조사에 나선 것이다. 머스크는 “아주 소량의 코발트라도 아동노동 착취가 없도록 하겠다”며 “광산에 웹캠을 설치할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주요국들의 공급망 실사 등 인권 규제가 엄격해지면서, 세계 곳곳에서 원료와 부품을 조달해야 하는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은 저마다 자체 감사 등의 방법으로 리스크 관리에 나서는 모양새다.
올해 1월 발효된 독일의 공급망 실사법은 기업들에게 공급망 인권·환경 문제를 감시·해결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를 어길 경우 연간 총 매출의 최대 2%에 해당하는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유럽연합(EU)도 올해 중 공급망 실사를 의무화하는 지침을 마련할 예정이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도 지난해 ‘위구르 강제노동방지법’ 시행에 들어갔다.
현대자동차도 지난해 미국 앨라배마 공장 부품 계열사에서 미성년자들이 일한 것이 확인돼 현지 노동당국의 조사를 받은 바 있다. 지난 1월 미국 노동조합 연기금을 운용하는 SOC투자그룹이 아동노동법 위반 행위에 대해 해명하라고 요구하자, 현대차는 현장 실사를 벌인 뒤 해당 부품 계열사 지분을 매각하겠다고 밝혔다.
이재혁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는 “1차 협력업체, 심지어 2·3차 업체에서도 노동인권 탄압이나 분쟁광물 활용 등의 문제가 생기면 원청 업체 자신들의 경쟁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는 것”이라며 “투자자들도 기존에는 공급망 맨 윗단에 있는 원청 업체만 신경을 썼다면, 이제는 전체적인 위험 관리가 더 중요하다고 여기고 있다”고 말했다.
https://www.khan.co.kr/economy/economy-general/article/202306221649001